【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불법 옥외광고물 단속 활동을 통해 얻은 소정의 보상금으로 지역 사회의 독거 어르신들을 돕는 이가 있어 눈길을 끈다. 광주시에서 ‘불법 옥외광고물 수거보상원’으로 활동 중인 김동균(46) 씨가 그 주인공이다. 김 씨는 지난 3월, 광주시 내 주요 도로변에 무분별하게 게시된 아파트 분양 현수막의 문제점을 느끼고 단속원 자격을 신청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불법 현수막들은 운전자 시야를 방해하고, 도시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수거 과정에 행정력이 낭비되는 등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었다. 김 씨는 하루에도 수십 장의 불법 현수막을 직접 철거한 뒤, 동사무소나 시청 지정 장소에 수거를 맡긴다. 광주시의 보상 기준은 장당 1천 원, 월 최대 30만 원. 그는 “서울처럼 1장에 2천 원, 월 최대 300만 원을 지원하는 곳도 있지만, 광주시는 여건이 훨씬 열악하다”며 “주차도 불편하고 불법 현수막 대부분이 차량 통행이 많은 위험 지역에 있어 육체적 부담도 크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씨가 이 활동을 꾸준히 이어가는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철거 보상금은 전액 독거 어르신들을 돕는 데 사용합니다. 전등이 고장 나 캄캄한 방에서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2025년 8월 원주 부론면 일대가 거센 저항에 휩싸이고 있다. 한국전력이 추진 중인 변전소 설치 사업이 지역 주민들의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강행되면서, 지역 공동체 전체가 강한 반발에 나선 것이다. 길거리 곳곳에 걸린 수십 개의 현수막은 이 사태의 심각성을 드러낸다. "자연과 삶을 파괴하는 변전소 결사반대", "주민 생존 위협! 한전은 문제없음을 증명하라!", "우리는 한전의 실험대상이 아니다" — 이 같은 문구들은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니라, 주민들의 절박한 생존 외침이다. ️ 삶의 터전에 ‘전기요금’의 그림자 부론면은 오랜 시간 동안 농업과 자연을 중심으로 형성된 조용한 시골 마을이다. 그러나 한전이 주민에게 사전 동의나 공론화 절차 없이 변전소 설치를 추진하면서 마을의 평화는 산산조각 났다. 정산리, 법천리, 손곡리 등 각 마을 주민들은 한목소리로 “우리는 들러리가 아니다”고 외친다. “우리 동네에 왜 변전소를 지으려 하는지, 어떤 영향을 받을지, 그 어떤 설명도 듣지 못했다”는 것이 주민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우리는 실험 대상이 아니다” — 주민 생존권 위협 변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자파, 소음, 환경 훼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