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경기도가 동탄 도시철도의 기본계획 변경을 29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이번 변경은 환승 동선을 단축하고 사업비 절감을 위한 조치로, 기본계획에 포함된 일부 구간의 지하화 계획을 지상화로 변경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경기도는 철도 건설 비용을 절감하고, 이용자 편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탄 도시철도는 화성, 수원, 오산 세 도시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대규모 사업으로, 총 34.4km 구간에 36개의 정거장과 차량기지 1개소를 포함한다.
총사업비는 약 9,981억원이며, 2028년 개통을 목표로 34대의 트램이 9분 간격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이번 기본계획 변경은 현장 여건과 비용 절감, 이용자 편의를 고려한 결정으로, 경기도는 공청회와 의견 청취 절차를 거쳐 국토교통부에 승인을 신청했다.
경기도는 이번 변경을 통해 여러 가지 장점을 예상하고 있다. 첫째,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지하철 건설은 고비용이지만, 지상 트램은 상대적으로 경제적이다. 지하 구간을 지상화함으로써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환승 편의성'이 향상된다. 정거장 위치를 조정하여 환승 동선을 단축하고, 이용자들이 다른 교통수단과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는 교통망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서 동탄 도시철도는 탄소 배출 감소에 기여하고, 교통 혼잡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화성, 수원, 오산을 연결하는 광역교통망을 개선하여 지역 주민들의 이동 편의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지상화로 변경된 구간은 '도시 미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주거지와 상업지구 주변에서는 트램의 지상 운행이 시각적으로 방해가 될 수 있다. 또한, '교차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주요 교차로에서 트램과 다른 교통수단 간 충돌이 우려되며, 이는 교통 흐름에 불편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기존 인프라와의 충돌' 문제도 있을 수 있다. 기존의 건물이나 도로와의 충돌로 인해 추가적인 재설계나 보상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소음과 진동' 문제는 근처 주민들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지상 트램은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경기도는 동탄 도시철도의 기본계획 변경을 통해 교통망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업비 절감과 이용자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그러나 지상화로 인한 도시 미관, 교차로 문제, 소음 및 진동 등 일부 부정적인 영향도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