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전기세가 밀려 단전이 예고된 날, 병원비를 감당하지 못해 치료를 미루고 있는 순간..
절박한 순간에 은행을 찾는 사람들 신용이 낮고 담보가 없다는 이유로, 그 문은 쉽게 열리지 않는다. 그들이 다시 돌아서야 했던 수많은 문턱 앞에, 한 줄기 희망처럼 나타난 정책이 있다. 바로 경기도의 ‘극저신용대출’이다.
신용점수 454점 이하, 즉 통상적으로 ‘금융 거래 불가’에 해당하는 최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극저신용대출 제도를 경기도가 운영하고 있다.
“당신의 신용이 0점이어도 괜찮다”는 이 대출은 이름 그대로, 가장 낮은 곳에서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전망이다.
대출 한도는 50만 원에서 많게는 300만 원까지. 누군가에게는 적은 금액일지 모르지만, 이 돈은 위기를 넘길 수 있는 시간, 재기의 발판, 가족을 지킬 수 있는 최소한의 수단이 된다. 무엇보다 이 제도의 핵심은,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넘어서 ‘신뢰 회복’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
2023년부터 경기도는 이 제도를 확대하며 문화창작 플랫폼, 자활근로 연계형 지원, 취업준비 청년 대상 대출 등으로 다양하게 확장해 나가고 있다. 생계를 위한 지원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는 자립과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구조다.
김정훈(가명, 41세) 씨는 2024년 실직 후 신용점수가 급격히 하락했고, 생활비는 물론, 어린 자녀의 급식비조차 마련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 그는 극저신용대출로 100만 원을 지원받아 위기를 넘겼다.
“그 돈으로 당장 불이 꺼질 뻔했던 집에 다시 불이 켜졌습니다. 그리고 제 마음에도 불이 켜졌어요.”
이 제도는 신청과정에서도 가능한 한 복잡한 절차를 줄이고, 사회복지사나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통해 직접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대출 이후에는 금융상담, 상환계획 수립, 추가 자립자금 연계까지 이어지는 통합적 관리 시스템이 작동한다.
무엇보다 이 정책이 의미 있는 이유는, 사회적 낙인 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는 점이다.
“나는 도움받을 자격이 없어요.”라고 말하던 이들이, “나도 누군가의 신뢰를 받았다.”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것. 그 경험은 곧, 사회의 일원으로 다시 발을 내딛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물론 모든 제도가 완벽하지는 않다. 여전히 많은 이들이 제도를 몰라서, 혹은 심리적 장벽 때문에 신청을 망설인다. 정작 필요한 이들이 정보를 접하지 못하는 문제, 낮은 접근성, 신청과정에서의 낙인감 등은 앞으로 보완해 나가야 할 과제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하나다. 이 제도는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의 삶을 지탱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사람의 무너진 신용이, 그의 인생 전체가 무가치하다는 뜻은 아니다. 극저신용대출은 그 믿음을 제도적으로 증명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경기도는 앞으로도 이 정책을 더욱 촘촘하게 다듬고, 더 많은 이들에게 닿을 수 있도록 확대할 계획이다. 금융에서 소외된 이들을 위한 “작지만 확실한 희망”, 그것이 극저신용대출이 존재하는 이유다.
그리고 그 희망은 지금도, 경기도가 조용히 누군가의 삶을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