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고양특례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 김수진 의원(국민의힘, 일산3, 대화)이 지난 11월 14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시민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는 따뜻한 시선으로 챙기고, 관행적인 예산 낭비에는 날카로운 검증을 들이대며 ‘정책 감사’의 모범을 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 의원은 이번 감사 기간 동안 ▲시민 안전과 정서적 케어 ▲예산 집행의 효율성 제고 ▲불합리한 행정 관행 타파를 3대 핵심 화두로 제시하며, 시정 전반에 걸친 심도 있는 질의와 대안 제시를 이어갔다.
"행정 절차 너머 '사람'을 보다"... 시민 마음 살피는 '따뜻한 행정' 주문
김 의원은 고양도시관리공사 감사에서 지난 3월 발생한 체육관 수영장 어린이 손가락 절단 사고를 언급하며, "법적·행정적 절차 이행에만 그치지 말고 피해 가족에게 진정성 있는 위로와 '정서적 케어'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또한, 평생교육과의 '원클릭 시스템' 강사 인력풀이 6년간 방치된 점을 지적하며, "아이들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강사 자질 검증 시스템을 즉각 정비하라"고 촉구하는 등 행정 편의보다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에 둔 질의를 펼쳤다.
3개 구청 감사에서는 일산서구의 적극적인 민원 해결 사례와 일산동구의 시민 공감형 특수 시책을 칭찬하며, 공직 사회에 '적극 행정' 문화를 장려하는 포용적인 모습도 보였다.
"혈세 낭비, 관행적 독점 NO"... 예산과 원칙 앞에서는 '송곳 검증'
반면, 예산 낭비와 불공정 관행에 대해서는 타협 없는 지적을 이어갔다. 김 의원은 예산담당관과 체육정책과 감사에서 ▲4년 연속 99% 불용된 시립합창단 보험 ▲실제 부상은 많으나 청구 건수가 '0건'인 직장운동경기부 단체보험의 모순을 짚어내며, 형식적인 예산 편성을 멈추고 실효성 있는 '맞춤형 보장 설계'를 요구했다.
또한, 덕양구청이 지난 10년간 특정 업체와 고지서 제작 수의계약을 맺어온 점과 이를 피하기 위한 '쪼개기 발주' 의혹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투명한 통합 발주 시스템 마련을 주문했다. 언론홍보담당관 감사에서는 행사가 끝난 후에도 버스 광고가 계속 송출되는 '뒷북 행정'을 지적하며 계약 방식의 전면 재검토를 이끌어냈다.
조직 문화와 시스템 개선으로 '일하는 고양시' 만들기
이 밖에도 김 의원은 ▲민원 창구의 기능 중복 해소 ▲개인정보보호 조례 재추진 ▲직원 인사 만족도 제고 및 격무 부서 지원 강화 등을 주문하며, 공무원들이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조직 문화 조성에도 힘을 쏟았다.
김수진 의원은 6일간의 행정사무감사를 마무리하며 "이번 감사는 단순히 집행부의 잘못을 들춰내는 것이 아니라, 시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함께 고민하는 과정이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어 "지적된 사안들이 단순한 '답변'으로 끝나지 않고 내년도 시정에 확실히 반영되어, 시민들이 '고양시가 달라졌다'고 체감할 수 있도록 끝까지 살피겠다"고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