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트럼프, 꼬리를 잡아 몸통을 흔들다

세계 기업을 꺾고 자국 패권을 다시 쥐려는 ‘무소불위 경제 압박’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한 번 전 세계에 경고장을 날렸다. 이번에는 정교하고도 노골적인 방식으로. 겉으로는 공정한 무역을 말하지만, 실상은 ‘글로벌 기업 해체’를 통해 미국 패권을 되찾으려는 경제적 전쟁이다. 그는 상대의 가장 약한 고리, 즉 ‘꼬리’를 잡아 흔들고, 그 여파로 전체 산업 생태계인 ‘몸통’을 뒤흔들고 있다.

 

세계 공급망의 약점만 노린다

트럼프는 특정 국가의 경제를 직접 건드리지 않는다. 그보다는 취약한 부문—특정 기업, 특정 산업, 인력 문제, 규제 공백—을 찾아 그곳을 조인다. 그리고 그 타격이 산업 전체, 국가 전체로 번지도록 유도한다.

 

한국, 배터리 공장에 IRA 요건을 덧씌우고, 기술 인력 비자 문제를 단속해 전체 산업을 흔든다.

유럽, 철강·자동차 부문에 고율 관세를 가하며 독일 중심 제조업 체계에 타격한다.

중국, 저가 배터리·태양광·희토류 수출을 정조준 → 전 세계 첨단 제조망까지 흔들리게 만든다.

멕시코, 이민 이슈를 무역 카드로 활용해 생산기지를 압박한다.

 

이 같은 방식은 단순한 규제도, 무역정책도 아니다. 상대의 ‘꼬리’ 하나만 움켜쥐고 전체 몸통을 마비시키는 정치적·경제적 심리전이다.

 

결국은 세계적 기업들을 무너뜨리려는 의도

트럼프 대통령은 말한다.

 

“미국의 부를 빼앗아가는 외국 기업들은 되돌려놔야 한다.”

“제조업은 다시 미국으로 돌아와야 한다.”

 

이 메시지 속엔 단순한 산업 보호를 넘어선 목적, 즉 글로벌 경쟁 기업의 약화를 통해 미국 기업의 패권을 재구축하겠다는 노림수가 숨어 있다.

 

IRA는 겉으론 친환경·인센티브 정책이지만, 실상은 외국 기업의 미국 종속화를 강제하는 장치이다.

관세는 ‘협상 수단’이 아니라 비정상적인 경쟁 억제 장벽이다.

비자 단속은 법 집행이 아니라 기술 유출 차단과 인력 진출입 장벽 수단이다.

 

트럼프는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규칙을 바꾸고, 판을 흔들고, 약속을 뒤엎는다. 그리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세계 시장을 누비던 기업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예측 불가능한 ‘패권 회복 작전’의 피해자들

현대차, 도요타, 폭스바겐, CATL, 삼성SDI, BOSCH 등 글로벌 톱 티어 제조 기업들은 모두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및 법적 압박 아래 놓여 있다.

 

조지아 공장에 조기 준공 압박

비자 문제로 기술자 대거 단속

IRA 인센티브 조건 강화로 수익성 불확실성 증가

중국산 부품 사용 시 전기차 세액공제 배제

 

이는 ‘시장 경쟁’이 아니라, 국가 권력을 동원한 산업 해체 전략이라는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다.

 

동맹이라도 예외는 없다

트럼프의 경제 정책은 더 이상 ‘적 대 동맹’의 이분법이 아니다.

그에게 동맹국도 언제든 협상 대상이며, 필요한 경우 ‘불공정국’으로 재분류될 수 있다.

 

FTA를 맺은 나라들도, 미국에 공장을 지은 기업들도, 세금 혜택을 받은 투자자들도 하룻밤 사이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체제가 되었다.

이는 정책의 예측 가능성을 무너뜨리고, 경제 신뢰 기반 자체를 흔드는 행위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세계 경제의 ‘꼬리’를 쥐고 있다. 그것은 비자 몇 장일 수도, 원산지 규정 한 줄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는 그 작은 틈을 틀어쥐고, 전체 산업 구조—세계의 몸통을 흔들고 있다.

 

그 흔들림은 단순한 시장 충격을 넘어선다. 그것은 글로벌 경쟁 질서의 붕괴, 신뢰 기반 무역 체제의 해체, 그리고 미국 패권 재건이라는 명분 하의 구조적 기만을 상징한다.

 

이제 세계는 물어야 한다.

트럼프가 쥔 그 ‘꼬리’의 끝은 어디로 향하는가?

그리고, 흔들리는 ‘몸통’ 속에서 미국은 진짜 승자가 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