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강화군이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에 본격 나서며 지역 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박용철 강화군수는 취임 1주년을 맞아 “접경지역의 한계를 기회로 바꾸는 대전환이 필요하다”며, 강화군 남단을 중심으로 한 미래형 산업단지 조성에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화도면‧길상면 일원 190만 평 규모 개발 계획
강화군은 화도면과 길상면 일원 약 6.32㎢(190만 평) 규모에 블루‧그린바이오, AI 기반 디지털 제조, 복합관광 산업이 어우러진 미래형 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해당 지역은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뛰어나며, 개발 여건과 자연환경을 동시에 갖춘 입지로 평가받는다.
박 군수는 “과거 농업과 관광 중심의 경제 구조를 넘어, 지속가능한 신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할 시점”이라며 “양질의 일자리와 인구 유입, 미래 산업을 육성하는 ‘혁신 클러스터’로 강화의 체질을 바꾸겠다”고 강조했다.
강화군은 올해 연말, 인천광역시를 통해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공식 신청할 계획이다. 현재 타당성 조사 및 입지 분석, 산업 수요 검토 등 행정 절차를 속도감 있게 진행 중이다.
군은 이번 지정이 확정되면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의 협력 하에 세제 혜택, 인허가 간소화, 기반시설 지원 등 다양한 유인책이 적용돼, 민간투자 유치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행정 주도가 아닌 군민 참여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강화군은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대규모 서명운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폭넓은 지지를 이끌어내고 있으며, 군민 설명회와 간담회를 통해 정책 공감대 형성에도 힘쓰고 있다.
군 관계자는 “군민의 자발적 참여가 경제자유구역 지정의 가장 큰 동력”이라며 “지속적인 소통과 정보 공유를 통해 군민 모두가 주인 되는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강화군은 접경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성과 군사 규제로 인해 개발 제약이 컸다. 그러나 박용철 군수는 이 같은 제약을 전략적 기회 요인으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인구감소 대응, 청년 일자리 창출, 관광 활성화 등 지역의 복합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다.
강화군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를 제시했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인구 유입 가속화
4차 산업 기반의 미래형 산업 생태계 조성
접경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 확보
박용철 군수는 말한다.
“강화는 더 이상 낙후된 지역이 아닙니다.
경제자유구역은 강화의 미래 100년을 여는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군민과 함께 반드시 해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