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교육부는 11월 27일, 국립대학 및 국립대학법인(39개교)의 2025년 양성평등 추진실적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2004년 시작된 양성평등 추진실적 평가는 2030년까지 대학 내 양성평등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도입된 중장기 계획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교육부는 대학의 교원 임용과 의사결정에서의 성별 다양성 확대 등 양성평등 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지원해 왔다.
올해부터는 양성평등조치계획 8단계(2025년~2027년) 평가 목표가 적용됐으며, 기존의 ‘교원의 성별 다양성 제고 목표’에 ‘의사결정의 양성평등 참여 강화’ 목표를 추가하고 지표를 일부 개선했다.
국립대(37개교) 및 국립대법인(2개교) 총 39개교를 전임교원 수에 따라 일반대 Ⅰ(13개교), 일반대 Ⅱ(15개교), 교육대·교원대(11개교)로 분류하여 점검을 실시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립대학 교원의 여성 비율은 최근 3년간 계속 상승 추세이다. 특히, 여성 전임교원 비율은 관련 법령의 2025년 목표 비율 21.4%보다 0.8%p 초과한 22.2%로, 목표치를 1년 앞당겨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임교원의 성별 비율은 여성 22.2%, 남성 77.8%이며, 대학 유형별 여성 비율은 일반대 Ⅰ 22.2%, 일반대 Ⅱ 19.3%, 교육대·교원대 35.6%였다.
신임교원의 여성 비율은 여성 28.0%, 남성 72.0%이며, 대학 유형별 여성 비율은 일반대 Ⅰ 28.1%, 일반대 Ⅱ 23.2%, 교육대·교원대 54.2%였다.
주요 위원회의 성별 비율은 여성 22.6%, 남성 77.4%이며, 주요 보직자의 성별 비율은 여성 13.7%, 남성 86.3%, 기타 보직의 성별 비율은 여성 22.1%, 남성 77.9%로 조사됐다. 주요 의사결정기구의 성별 구성 변화는 여전히 정체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대Ⅰ과 일반대Ⅱ 유형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임교원이 4인 이상인 ‘성별 다양성 부재(제로) 학과·학부(574개)’ 중 신임교원 임용이 이루어진 곳은 총 205개(여성 부재 187개, 남성 부재 18개)였다. 이 중 16.6%인 34개(여성 부재 33개, 남성 부재 1개)에서 성별 다양성을 확보하는 성과가 확인됐다.
특히, 여성 교원이 없던 물리학과, 건설시스템공학과 등에서 여성 교원을 임용하고, 남성 교원이 없던 간호학과에서 남성 교원을 임용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한편, 교육부는 11월 27일, 엘타워(서울)에서 '2025 국립대학 양성평등 지원사업 성과 학술 토론회(심포지엄)'을 열어 ’25년 우수대학으로 선정된 3개교(제주대학교, 목포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에 교육부 장관 표창을 수여하고, 이번 평가 결과를 공유한다.
박성민 기획조정실장은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다양한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평등한 대학 문화 조성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며, “특히, 국립대학이 책무성을 가지고 대학의 양성평등정책을 견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