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경기뉴스원/경기뉴스1】 |“돈이 도는 나라, 사람이 사는 나라.”
이재명 대통령의 전통시장 연설 속 한 문장은 이번 31.8조 원 규모의 민생추경을 관통한다. 그리고 그 핵심 한가운데, 민병덕 국회의원이 있다.
이번 추경안은 물가 불안과 경기 침체 속에서 국민의 삶을 직접 지키기 위한 정밀한 정책 수술이다. 소비쿠폰 지급, 지역상품권 추가 발행, 장기채무 소각, 회복지원기금 확대 등 민생 전 분야를 아우르는 대규모 예산안은 단순한 재정 투입이 아닌, 설계된 정책적 해법이다.
그 설계자는 바로 민병덕 의원이다.
민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정책수석으로서 이재명 당시 당대표의 1호 당론 법안을 구체화하는 책임을 맡았다. ‘민생회복지원금’은 단순한 현금 지원이 아니다. 경제 사각지대에 놓인 국민의 소비 역량을 회복시키고, 지역상권을 직접 지원하며, 장기채무로 고통받는 국민에게 실질적인 회생 기회를 제공하는 정교한 종합 민생 패키지다.
민 의원은 “이 법안은 먹고 사는 권리를 지키는 마중물입니다. 절대 물러서지 않겠습니다.”라는 약속을 당대표에게 했다. 이후 대통령이 된 이재명 대통령은 그 약속을 지켜냈고, 민병덕 의원은 끝까지 책임을 지고 정책의 중심을 잡았다.
추경안의 핵심은 최대 55만 원 민생소비쿠폰 지급, 지역사랑상품권 8조 원 추가 발행, 113만 명 장기연체채무 소각, 새출발기금 및 회복지원 확대 (30만 명 대상) 등이다.
이 모든 조치는 민병덕 의원이 정책 기획단계부터 참여해 총괄 설계한 결과물이다. 단순한 예산 투입이 아닌, 민생의 동맥을 살리는 구조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번 추경안의 통과는 하나의 정치적 성과이자, 정책적 책무의 완결이다. 정책수석으로서, 그리고 입법자로서 민 의원은 단순히 법안을 발의하고 통과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정치와 행정 사이의 다리 역할을 수행했다. 정책의 설계부터 조정, 국회 통과까지 민병덕 의원이 감당한 무게는 결코 가볍지 않다.
31.8조 원의 추경은 단기적 소비 진작을 넘어서 지역경제에 온기를 불어넣고, 국민의 일상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실질적 마중물이다. "불황을 끊고 골목에 온기를 불어넣는 예산"이라는 민 의원의 표현처럼, 이 추경은 '정책이 사람을 살린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을 것이다.
민병덕 의원은 앞으로도 "먹고 사는 권리"를 지키는 책임을 정치의 중심에 놓겠다는 입장이다. 정책이 약속이 되고, 약속이 실현되는 과정을 이끌어가는 그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